백록담
1
절정에 가까울수록 뻐꾹채* 꽃 키가 점점 소모된다. 한 마루 오르면 허리가 슬어지고* 다시 한 마루 우에서 모가지가 없고 나종에는 얼굴만 갸웃 내다본다. 화문*처럼 판 박힌다. 바람이 착가 함경도 끝과 맞서는 데서 뻐꾹채 키는 아주 없어지고도 팔월 한철엔 흩어진 성신*처럼 난만하다*. 산그림자 어둑어둑하면 그러지 않아도 뻐꾹채 꽃밭에서 별들이 켜든다*. 제자리에서 별이 옮긴다. 나는 여기서 기진*했다.
2
암고란* 환약같이 어여쁜 열매로 목을 축이고 살아 일어섰다.
3
백화* 옆에서 백화가 촉루*가 되기까지 산다. 내가 죽어 백화처럼 흴 것이 승없지* 않다.
4
귀신도 쓸쓸하여 살지 않는 한 모롱이, 도체비꽃*이 낮에도 혼자 무서워 파랗게 질린다.
5
바야흐로 해발 육천 척 위에서 마소*가 사람을 대수롭게 아니 여기고 산다. 말이 말낄, 소가 소끼리 망아지가 어미 소를, 송아지가 어미 말을, 따르다가 이내 헤어진다.
6
첫 새끼를 낳느라고 암소가 몹시 혼이 났다. 얼결에 산길 백리를 돌아 서귀포로 달아났다. 물도 마르기 전에 어미를 여읜 송아지는 움매애 움매애 울었다. 말을 보고도 등산객을 보고도 마구 매어달렸다. 우리 새끼들도 모색이 다른 어미한테 맡길 것을 나는 울었다.
7
풍란*이 풍기는 향기, 꾀꼬리 서로 부르는 소리, 제주 휘파람새 휘파람 부는 소리, 돌에 물이 따로 구르는 소리, 먼 데서 바다가 구길 때 솨아솨아 솔 소리, 물푸레 동백 떡갈나무 속에서 나는 길을 잘못 들었다가 다시 칡넌출* 긔여간 흰 돌바기* 고부랑길로 나섰다. 문득 마주친 아롱점말이 피하지 않는다.
8
고비 고사리 더덕순 도라지꽃 취 삿갓나물 대풀 석용* 별과 같은 방울을 다른 고산식물을 새기며 취하며 자며 한다. 백록담 조찰한 물을 그리어 산맥 우에서 짓는 행렬이 구름보다 장엄하다. 소나기 놋낫* 맞으며 무지개에 말리우며 궁둥이에 꽃물 이겨 붙인 채로 살이 붓는다.
9
가재도 긔지 않는 백록담 푸른 물에 하늘이 돈다. 불구에 가깝도록 고단한 나의 다리를 돌아 소가 갔다. 쫓겨 온 실구름 일말*에도 백록담은 흐리운다. 나의 얼굴에 한나절 포긴* 백록담은 쓸쓸하다. 나는 깨다 졸다 기도조차 잊었더니라.
* 소모 : 消耗
* 뻐꾹채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
* 슬어지고 : 사라지고
* 화문 : 꽃무늬
* 성신 : 별무리
* 난만하다 : 꽃이 활짝 많이 피어 화려하다
* 켜든다 : 빛이 나는 물건을 켜서 밝게 한다
* 기진 : 기운이 다하여 힘이 없음.
* 암고란 : 시로밋과의 상록 관목.
* 백화 :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잎 지는 키나무의 한 가지
* 촉루 : 살이 전부 썩고 남은 송장의 뼈
* 승없지 : 흉없지
* 도체비꽃 : '도깨비꽃'의 방언
* 마소 : 말과 소
* 풍란 : 난초과의 상록 다년초
* 칡넌출 : 칡덩굴
* 흰 돌바기 : 흰 돌 박힌
* 석용 : 지의류의 하나. 엽상체 식물에 속한다
* 놋낫 : 노끈을 드리운 듯 빗발이 굵고 곧게 뻗치며 죽죽 내리 쏟아지는 모양
* 일말 : 없지 않을 정도로 약간 있음을 나타내는 말
* 포긴 : 포갠
* 정지용, "지용시선詩選" (을유문화사, 1946)
-
:: 메모 ::
언젠가 황유원이 언급한 적이 있던 그 '백록담'을 이제서야 다시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