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노트

신춘문예 D-5. 서울신문 신춘문예

단테, 정독... '종로학파' 2023. 11. 25. 03:55

 

 

 

신춘문예 D-5. 

(중앙일간지 리뷰, 4/7) 서울신문 신춘문예 : 

 

거리에서, 너에게, 말하지 못한 내 사랑, 그리고 나무... 김광석이 있었습니다. 

문득 동영상 한 편을 찾아 틀고선 한참을 그 앞에 앉아 있었습니다. 그저께는 점심시간에 문득 생각이 나서 대학로를 찾았고 학전 앞에서 한참 그를 바라보았습니다. 예전의 대구에서도 그랬나 봅니다... 누군가를 진심으로 그리워하면 평생 잊지 못할 추억거리가 될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회복기의 노래, 사평역에서, 이사, 목재소에서, 그리고 볼트... 신춘문예가 있었습니다. 

인생에서의 시 한 편도 그런 부분일 것으로 늘 믿어온 편입니다. 어느 한 시절을 대변할 그 시편과 그 시인의 삶들을 늘 그리워했나 봅니다. 어쩌면 이 부분 역시 앞으로도 누군가의 평생에서, 또는 삶의 어느 순간에서 가장 중요한 일부로 간직되리라 짐작합니다. (올해 만 55세의 나이로 빛나게 등단한 임후성 시인 역시 그 '거룩함'의 일부라고 생각하며, 신춘문예가 "한 해의 전할 말을 제대로 전하는 자리"라는 그 본연의 위치를 갖고 있음도 함께 기억합니다.)  

이른 새벽부터 말이 좀 길었습니다. 이제 불과 닷새가 남았네요... 오늘은 서울신문을 살펴볼 차례입니다. 

최근 5년간의 당선작 및 심사평 요약입니다. ;  

 

2019년 : 류휘석, 랜덤 박스 (심사 - 나희덕, 안도현) 

“당선작으로 뽑은 ‘랜덤 박스’ 외 2편은 다소 장황한 듯 하지만 시적 사유와 문제의식을 끝까지 밀고 간다는 점에서 믿음이 갔다. 우울한 판타지에 가까운 그의 시들은 특히 ‘허’나 ‘허기’, ‘죽음’ 등에 예민한 촉수를 대고 있다. “매일 허들을 넘다 실패하는 광대들”처럼 종이상자에 갇혀 누군가의 손길을 기다리는 현대인의 일상은 부단한 실패와 실종을 겪은 자만이 그려낼 수 있는 우리 시대의 음화(陰畵)가 아닐까.”

2020년 : 이원석, 그림자 숲과 검은 호수 (심사 - 나희덕, 안도현) 

"당선작은 ‘접촉경계혼란’이라는 심리적 현상을 숲과 호수의 데칼코마니를 통해 역동적으로 전개하면서 “달리는 덤불” 하나를 눈앞에 보여 준다. 앞으로도 그가 현실과 꿈과 무의식을 유연하게 넘나들며 어떤 새로운 모험의 결과물들을 우리 앞에 부려 놓을지 기대를 갖게 된다."

2021년 : 김민식, 최초의 충돌 (심사 - 오은, 신해욱, 박연준) 

"‘최초의 충돌’ 외 두 편은 상상력의 스케일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크고 빛나는 장면을 문장으로 포착해내는 솜씨가 탁월했다.과거와 미래, 현실과 초현실, 미시적인 시각과 거시적인 시각을 넘나드는 화자의 폭넓은 관점, 예언을 떠오르게 하는 언술 방식에서 고요한 카리스마를 느낄 수 있었다.관찰이 곧 발명이 되는 시의 세계에서, 예리한 시선과 명징한 목소리로 고유의 세계를 그려내는 실력에 믿음이 갔다. 긴 논의 끝에 ‘최초의 충돌’ 외 두 편을 당선작으로 뽑았다."

2022년 : 이선락, 반려울음 (심사 - 오은, 신해욱, 박연준) 

“젊음은 젊은 상태, 혹은 젊은 기력을 가리킨다. 젊은 시가 있다면 그 상태를 잊거나 잃지 않고자 기력을 쏟아붓는 시일 것이다. ‘고픔’과 ‘아픔’을 외면하지 않는 시, 질문을 그치지 않는 시일 것이다. 일상의 한 장면에서 지나간 시간을 길어 올리고 작금의 감정을 그 위에 내려놓는 시일 것이다. ‘반려울음’은 쓰면서 고파지는 시, 배가 뱃가죽과 배꼽을 소환하는 시, 마침내 쏟아버리면서 동시에 쏟아지는 시였다. “버썩거리는” 일상을 비집고 다른 존재를 향한 유일한 감정이 솟아오르며 빛나는 시였다. 울음을 껴안으면서 울음과 함께 살겠다고 다짐하는 시였다.”

2023년 : 임후성, 볼트 (심사 - 오은, 신해욱, 정끝별) 

"한 명. 신춘문예는 한 명을 찾는 일이다. 인파 속에서 그 사람을 찾아야 한다. 예년보다 응모작이 많은 데다가 수준 또한 높아서 심사장은 후끈후끈했다. 한 명이 될 수 있는 이들이 많았다는 얘기다. 793명이 응모한 3001편의 시들을 집중하며 읽었다. 팬데믹의 여파가 경기 침체, 청년 실업 등의 양상으로 응모작에 나타났다. 삶의 피로와 미래에 대한 비관이 진득하게 느껴졌다. 이태원 참사를 추모하고 기후 위기를 염려하는 시도 눈에 띄었다... 토론 끝에 ‘볼트’ 외 2편을 응모한 임후성을 그 ‘한 명’으로 결정했다. ‘볼트’는 코끼리 다리에서 볼트를 연상하고 코끼리 몸집과 사회 구조를 빗대어 전개하는 시다. 코끼리를 알기 위해서는 코만 만져 봐서는 안 된다. 펄럭이는 귀, 네 개의 튼튼한 다리, 길쭉한 코, 단단한 상아까지 만져 봐야 한다. 그의 시 쓰기가 톺아보기를 지향하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막힘없는 상상과 내달리듯 호흡하는 문장은 읽는 맛도 더해 주었다. 당선자에게 축하를 보낸다. 코끼리처럼 성큼성큼 나아가되 주변의 작은 존재들을 살피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기를 바란다." 

  

 

볼트 (임후성) 

 

 

코끼리를 보라
코끼리끼리는 볼 수 없는 코끼리를 보라
꼬리를 위해 서 있는 네 번째와 세 번째 다리를 보라
걸음을 뗄 때 발을 남기고 벗겨질 것만 같은 발의 접힌 거죽을 보라
달라붙어 있지 않고
그것은 끌려다닌다

 

우리의 난제였던 바깥이다
실체는 헐렁헐렁하다
그 안에서 기관을 해체하는 망치질 같은 코끼리의 걸음을 보라
눈앞에 직접 정의된 코끼리를 보라
걸을 때마다 부서지고 있지 않은가
간신히 어금니로 연결되어 있지만 조금씩 무너져 내리고 있지 않은가
코끼리 안으로 들어가지 마라
안과 바깥은 서로에게 통증이 그지없다

뒤쪽 숲을 보라
나뭇잎들이 가지에 붙어 벌어졌다 오므라들었다 한다
나무 주위를 맴돌며 탈출이 어려운
바람의 원숭이들을 보라
가장 가까운 붉은색을 볼 수 없는 원숭이의 눈을 보라
저 영특한 종족은 의혹의 못에 박힌 매혹이다
이때 고개를 돌려 완전한 불의 형태로 시간을 태우는 대관람차를 보라
오전의 하품 같은 간격을 보라
회전의 무의미 아래 네게 권해지는 네 머릿속을 보라

주차장에서 마주친 사 년 전 그 사람을 보라
하천이 흐르는 대로변에서
다리 아래로 유혹해
교량의 접합부마다 극렬하게 박힌 볼트를 해가 질 때까지 함께 보았던 그 사람을 보라
볼트 하나를 빼 보고 싶었던 그 사람을 보라
그가 너를 찾아 나섰는지는 알 수 없다
그는 볼트 하나를 갖고 있다
그와 상관없이 혼자서 한 번 더 다리를 건너라
다리는 흔들거린다
그 아래를 보라
조그만 구멍을 남기고 녹슨 생략이 있다

 

 

* 2023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당선작 

 

 

 

 

 

 

 

 

:: 오늘의 신청곡 :: 

김광석 - 나무 (ft. 노영심의 작은 음악회, 17:40~) 

https://www.youtube.com/watch?v=U90wSAS9i3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