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노트

일산, 도시와 이미지 4

단테, 연초록, 정독, 그리고 종로학파 2020. 5. 23. 17:25

...
광장, 그리고 화두.
작고하시기 전까지 살았던 도시에 대해 갖는 큰 호감은 한겨레 인터뷰를 보면서 처음 느꼈던 감정인 듯합니다. 소설 '화두'에도 등장하던 서울예전 문창과 교수 시절의 에피소드들과 당대 최고라는 타이틀한테 사숙하면서 꿈을 그려본 시절들도 벌써 수십년전입니다.
...
몇년전엔가, 비로소 박경리 선생의 '토지'를 겨우 겨우 완독했던 겨울의 밤들이 또 있습니다. 이제는 '화두'가 아닌 '토지'를 자연스레 제 인생의 첫권으로 꼽게 되겠지만, 그래도 지난 청춘들의 방황과 사색 속에는 늘 광장, 그리고 화두가 함께 했다는 기억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
역시 작고하신 김현 선생은 '행복한 책읽기'에서 그를 "사상적 리얼리스트요, 문학적 모더니스트"로 평하기도 했습니다. 분단과 자본의 첨예한 갈등에 관한 현실인식과 소설들이 갖는 관념적 무게를 더해서 나온 평으로 생각합니다. (자칭 "리얼모던"을 표한 바 있던 황지우 시인의 시에도 엇비슷한 감수성이 배어나오곤 했습니다.)
...
사실, 시인 2만명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한테서 어느 어느 시인들이 살고 있는 마을이냐는 별로 중요치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도 전화를 걸었던 적 있는 황지우 시인도 광주에 살았던 안부를 본 적이 있고, 도종환 시인도 여전히 청주에 삽니다. 호수공원 바로 앞에 책방을 냈던 김이듬 시인도 사정은 좀 어떤지가 궁금해집니다...
...
최근에는 '칼의 노래'로도 또 유명한 소설가의 주소로 일산이 호기롭게 그려지기도 했네요. (공교롭게도 최근에 나온 산문집 '연필로 쓰기'에서 이제 일흔을 넘긴 소설가가 변함없이 은은한 애정을 표한 호수공원, 정발산 등이 지난 이야기들의 소재였기도 합니다.)
...
양희은과 조관우 또 윤도현 같은 거물급 가수들이 먼저 떠오르기도 했지만, 유독 작가들을 먼저 '소개'하자는 생각이 든 건 순전히 고인이 된 그를 기리는 일도, 문학도시와는 좀 거리가 먼 정치적 색채 등만도 아닙니다. 오히려 그들이 갖는 문제의식과 정치적 수사들이 여전히 한 도시의 일상에서도 오롯이 투영되는 까닭이겠습니다.
...
- 이젠 더 볼 수 없는 한 '거인'을 대신하여, 이 도시를 계속 살아가는 스스로의 생활과 영혼 속에서도 여전히 그 숨결들의 한부분은 계속 남아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